폴리곤 코인 전망 시세 분석
얼마 전 업비트에 상장한 폴리곤 코인에 대해 업비트를 켜보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봐보셨을 겁니다. 폴리곤 코인은 다른 이름으로 Matic(매틱)으로도 불리며, 현재 시가총액 14위에 위치한 전망 좋은 메이저 코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폴리곤에 대해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폴리곤의 장점은 기존의 코인 생태계의 중심이었던 이더리움의 가스비와 속도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레이어 2 (Layer 2)'의 대장급 코인중 하나인 점입니다. 현재 이더리움의 단점이라면, 다들 아시다시피 높은 가스비(전송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스테이킹한 길드 파이 코인의 이자를 받으려고 하는데 트랜잭션 비용(가스비)이 무려 81달러에 달합니다. ATM기기 출금수수료도 천 원 이내면 많이 샀을 수 있는데 차세대 기술인 블록체인의 가스비가 이렇게 비싸면 누가 쓸 것 같스니까? 오히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자주 나옵니다.
메이저 코인 레이어1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게 바로 Layer 2 기술입니다. 기존의 우리가 흔히들 알고 있는 메이저 코인들(ex.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레이어 1 (Layer 1)'에 위치한 코인들입니다. 레이어 1은 블록체인의 기본 기술인 '보안'과 '탈중앙화'를 추구하는 코인들인데, 이 코인들의 규모가 점점 커지다 보니까 '가스비'와 '처리속도'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얘네가 만들어질 때만 하더라도 코인판이 이렇게 커질 줄 몰라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고려해보지 않은 것입니다. 근데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이런 취약점들을 개선하려면 투표를 통해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전 세계에 흩뿌려진 코인의 절반 동의를 얻는다는 게 말이 안 되게 어렵습니다. 어떤 식으로 합의할지 정하기도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게다가 요즘 p2e라고 게임과 코인을 접목시킨 프로젝트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이렇게 속도도 느리고 가스비도 느리면 게임할 맛이 1도 안 날 겁니다.
레이어 2 탄생한 이유
이런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게 레이어 2이며, 레이어 2는 레이어 1위에서 활용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기존의 확장성의 문제였던 가스비와 처리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레이어 2의 대표적인 코인으로는 폴리곤, 아발란체, 하모니 등이 있습니다. 세 개 모두 유망한 메이저 코인들이지만 업비트에 원화 상장되어있는 건 아직 폴리곤(matic) 밖에 없습니다. 매틱의 주봉 차트를 보시면 메이저 코인중 하나답게 꾸준히 우상향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2021년 전에는 0.02달러 정도 했었던 거 같은데. 저 때 코 인하면서 100배 먹은 사람들 부럽습니다.
폴리곤 스테이 킹 방법
폴리곤(MATIC) 스테이 킹 방법 폴리곤의 공식 스테이킹 지원 사이트는 다음과 같으며, 스테이킹을 하기 위해선 폴리곤 전용 지갑을 생성하셔야 합니다. 폴리곤 wallet을 생성해주시고, staking 버튼을 누르시면 스테이킹 관련 페이지로 이동이 됩니다. 폴리곤 스테이킹의 연간 이율(APR)은 약 12% 정도입니다. 높은편도 아니고 낮은편도 아닌 딱 평범한 정도입니다. 단일 스테이킹 APR이 12% 정도면 훌륭한 편입니다. Polygon 코인 스테이 킹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매틱 네트워크 모두 지원하는데, 수수료를 아끼려면 당연히 매틱 네트워크를 사용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근데 문제는 업비트는 매틱 네트워크 입출금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바이낸스나 쿠 코인 거래소로 가셔서 폴리곤 코인을 구입하신 뒤, 매틱 네트워크로 출금하시는 게 좋습니다.
'코인 분석 시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 뜻 코인 관련주 정리 (0) | 2022.04.22 |
---|---|
P2E 게임 코인 관련주 정리 (0) | 2022.04.21 |
MEXC 거래소를 통한 MX코인 투자 채굴 (0) | 2022.04.21 |
IDO 코인, 런치패드 뜻 수익 현황 (0) | 2022.04.20 |
업비트 원화 상장 1순위 아발란체 코인 거래소 및 시세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