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 코인 시세 전망, 리브랜딩 호재
보라 코인 파트너십 데이를 개최하며 앞으로 nft/p2e 출시에 대한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보라 코인 관련 좋은 호재들이 많았는데도 불구하고, 크게 조정을 받았습니다. 이유는 워낙 단기간에 상승했고, 로드맵 발표하랬더니 난데없이 보라 코인을 무제한으로 발행하겠다고 발표하며 바로 10% 이상 급락했죠. 우선 보라 코인에 대해 간단한 소개 후 파트너스 데이와 리브랜딩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보라 코인의 상장 거래소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에만 상장되어 있는 100% 김치 코인입니다. 어느 정도 리스크는 감안하고 들어가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보라는 또 카카오 게임즈 코인으로도 유명합니다. 보라 코인은 카카오가 보유한 기축 코인 '클레이튼'의 하위 코인으로 애당초 돈 버는 게임 활성화 용도로 쓰일 것으로 보입니다. 이 보라 코인을 이용해서 디지털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플랫폼 내 마일리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카카오 게임즈 자회사 웨이투빗
보라 코인을 소유하고 있는 '웨이투빗'이 카카오 게임즈의 자회사입니다. 카카오 게임즈 계열사인 프렌즈 게임즈는 메타버스 , 블록체인 사업협력을 위해 작년 5월에 합병했습니다. 최근 게임업계에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부문이 nft, p2e입니다. 위메이드 미르 4가 주목을 받게 되며 더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프렌즈에서 이후 nft거래소 설립을 발표하며 덩달아 주가가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보라는 그라운드 엑스(카카오 자회사)와 함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을 공식 파트너로 두고 있습니다. 최근 보라 코인 호재 중 하나였습니다. 세계적인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그레이 스케일의 포트폴리오 검토 중인 암호화폐 중 루나 코인과 보라 코인이 포함됐습니다. 그레이 스케일의 포트폴리오는 유망한 코인들만 편입하기로 유명하고,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는 만큼 카피 트레이딩을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보라를 편입한다는 것은 나름 호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보라 코인 리브랜딩과 무제한 발행에 대한 논란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리 말씀드리면 아직 보라 2.0 리브랜딩에 관련한 구체적인 일정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2월 8일에 열린 파트너십 데이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카카오 게임즈가 보라 디파이 2.0 리브랜딩을 선언했고, 사업을 주도하는 프렌즈 게임즈 사명을 '메타보라'로 바꾼다고 밝혔습니다.
메타보라 코인 리브랜딩 계획
메타보라는 이번 리브랜딩을 통해서 게임생태계를 넘어서 카카오 공동체 엔터사업에 모든 영역에 쓰이는 유틸리티 코인으로 자리매김한다는 비전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실 이 리브랜딩 관련 내용은 이미 몇 달 전부터 발표한 내용이기에 기정사실화나 다름없었고, 파트너십 데이에서 보라 코인 - 오딘 p2e 연계가 될 수 있는지가 핵심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메타버스와 웹 3.0 시대에서 핵심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 파트너스 데이에 핵심이었던 "오딘- 보라 코인 p2e " 또한 이루어냈습니다. 사명 변경과 함께 파트너사 20 곳도 같이 합류했습니다.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위메이드, 샌드박스, 네오 우즈,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넵튠, 엑스엘게임즈, 오딘도 보라 2.0과 함께 합류하며 여러 게임사들과 대기업들이 보라 코인과 협력을 선언했습니다. 자 여기까지 매우 좋은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보라 코인 무제한 발행 소식
그런데 갑자기, 파트너스 데이에서 난데없이 보라 코인 무제한 발행을 선언했습니다. 보라 2.0에 동적 토큰 이코노미 도입을 선언했는데, 동적 이코노미는 발행량을 무제한으로 설정하고 소각 구조를 도입한다는 의미입니다. 그 어떤 화폐 든 간에 이렇게 화폐를 무한으로 찍어대면 그만큼 가치가 떨어지게 되어있습니다. 결국 유통량을 무제한으로 설정한다는 의미도 보라 코인 가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이죠 기존에 위 믹스도 토큰 소각 모델을 도입해 동적 이코노미 모델을 적용했었습니다. 게다가 위메이드는 위 믹스로 인해 크게 신뢰도가 떨어진 게 그동안 회사 측이 위 믹스 코인 유동화를 하며 투자자들의 비판을 받았었습니다. 위메이드 4분기 매출 중 63%가 위 믹스 코인 유동화 실적입니다.
'코인 분석 시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지 코인 호재 전망 시세 분석 (0) | 2022.04.24 |
---|---|
카카오 주가 전망 시세 배당금 (0) | 2022.04.23 |
구글 알파벳 주가 액면분할 소식 (0) | 2022.04.23 |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해외주식 세금 절약 (0) | 2022.04.22 |
쿠 코인거래소 입금 출금 수수료 정리 (1) | 2022.04.22 |